“농식품부 가금분야 의무자조금 출범 도와야” 중론

AI가 한달 가까이 추가로 발병하지 않으면서 양계업계는 점차 안도하는 모습을 보이며 소비회복에 안간힘을 쏟고 있으나 급격한 소비불안에 대비해 운영되야할 양계분야 자조금이 마련돼 있지 않아 생산자 단체들은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일부 지자체와 지역축협, 양계협회 산하 지부를 중심으로 소비촉진을 위한 행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언론과의 연계나 치밀한 전략이 없는 일회성 행사로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커다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농식품부가 인터넷 주요 포털과 지하철, 옥외전광판, TV와 라디오 등 여러 매체를 활용 소비촉진 광고를 내보내고 있기는 하지만 관 중심의 준비되지 않은 홍보사업은 큰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AI와 같은 양계산업 비상사태에 대비, 지난해 의무자조금 추진을 강력해 추진해온 육계부분의 경우 관리위원장 자리를 놓고 계육협회와 양계협회가 첨예한 갈등을 이어왔고 중재를 해야하는 농식품부가 사실상 조정역할을 포기하고 정부 측 관리위원 선임을 하지 않음에 따라 지금까지 육계의무자조금이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계란자조금의 경우 정부가 계란에 대한 유통구조 개선에 산업도입 이후 지금까지 손을 쓰지 않으면서 거출을 할만한 기관자체가 존재하지 않아 대의원회 조차 구성하지 못한채 사료회사, 부화장, 노계 등 별 소득 없는 편법 거출기관 선정에 몇 년째 공을 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 사이 정부는 계란자조금 출범을 위한 어떤 조언이나 창구마련을 위한 대안을 내 놓지 않고 있어 사실상 양계분야 자조금사업을 방치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닌 상황이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출범 준비가 마무리된 육계의무자조금부터 정부가 빨리 실행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조정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후 빠른 시일 내에 계란자조금도 실시 될 수 있도록 정부는 업계와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AI 사태와 같은 위기가 언제 닥칠지 모르는 상황에다 미국과 브라질 등 주요 수출국들이 수출물량을 늘리고 있어 국내산 닭고기의 홍보사업이 어느 때보다 절실해 진 것도 양계분야 의무자조금 도입에 정부가 발벗고 나서야 하는 이유라는 게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김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