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발 앞선 행정’ ‘체계적 방역’으로 AI 극복

유관기관·단체 유기적 협조…협동조합도 한축 담당
실용적 방역시스템 구축…차단방역 예산 조기집행


AI가 전국을 휩쓸고 지나갔지만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는 충북도에 청정지역 유지비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올해 발생한 AI는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를 비롯해 11개시도, 19개 시군에서 발생하는 등 전국이 영향권 안에 들어갔지만 충북만이 유일하게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충북도의 경우 전북과 전남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오리가 사육되고 있어 AI 청정지역 유지는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이처럼 청정지역을 유지함에 따라 최근 제주도는 5일부터 충북도 지역에서 생산된 닭고기와 병아리 등 가금류에 한해서 반입이 허용됐다.

AI 청정지역 ‘충북’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을 분석해보면 무엇보다 지방자치단체의 한발 앞서가는 행정과 함께 유관기관, 생산자단체와의 유기적인 협조체계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지적이다.

우선 정우택 충북도지사는 전북 김제에서 최초로 AI가 발생된 직후 도지사 특별지시를 통해 AI 차단방역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정 지사는 이후에도 AI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다시 한번 특별지시를 통해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또한 과거 구제역 등 악성질병 발생에 따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방역시스템을 구축돼 있다는 점도 진가를 발휘했다.
지난 2000년과 2002년 구제역과 2003년 AI 발생 경험을 통해 실용적인 방역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난해 행정자치부로부터 평가 우수를 수상하기도 했다.

또 차단방역을 위한 예산지원도 조기 집행하는 등의 노력도 주효했다는 평가다.
충북도는 지난해 AI 특별방역대책 기간 이전에 예방적 차원에서 8억3천만원의 소독약품을 지원했으며 도내 5천500농가를 대상으로 사전전화예찰, 휴대폰 문제메시지 발송을 통해 발생동향 등을 신속하게 알려줬다.

아울러 AI발생 이후 예비비 5억4천900만원을 긴급 지원했으며 금년도 방역 예산 3천600만원도 조기에 집행했다.
또한 농협충북지역본부 역시 AI 청정화 유지에 한축을 담당했다.

충북지역본부는 자체적으로 AI특별방역상황실을 운영하며 휴일비상근무실시하고 AI예방을 위해 소독약품과 15톤이 생석회를 공급했다.
또 자체적으로 도내 687개 가금류 농장에 대해 전화예찰을 실시하고 149대의 차량과 295명의 인력이 소독활동을 지원했다.
이와 함께 생산자들의 적극적인 차단방역 활동 역시 AI 청정지역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었다.

양축농가들은 자발적으로 16개소의 통제초소를 운영하고 220개 공동방제단 활동도 적극 참여했다.
또 AI 발생 의심 오리농가는 1만수에 달하는 오리를 자진 폐기처분하기도 했다.
 
인터뷰 / 곽 용 화 충북도 축산팀장
“시군·축협·농가 협력…사전예방에 집중”

“가축이 질병이 발생하면 아무런 가치가 없기 때문에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충북도가 AI 청정지역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활동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평가다.
특히 충북도 축산팀의 곽용화 팀장은 AI 청정지역 유지에 일등 공신으로 평가받고 있다.
곽 팀장은 지난 4월 1일 전북 김제에서 AI 발생 이후 단 하루도 마음 편히 집에 들어가 보지도 못했을 뿐만 아니라 휴일도 없었다.
곽 팀장은 “충북도에서는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양축가들이 원하는 장비와 생균제, 무항상제 면역증강제, 환풍기 등을 지원, 친환경 사육과 깨끗한 환경을 만들어 주려고 노력해 왔다”며 “양축농가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맞춤형 농정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곽 팀장은 “시군 축산계, 축협, 양축농가 모두가 방역활동에 적극 노력했기 때문에 AI 청정지역을 유지할 수 있었다”며 “하지만 질병을 발생시키는 농가는 퇴출시키는 법적 제도도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가축 등록제를 제대로 실시하고 방역사양관리 불량 농가에도 생산자 단체에서 제재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청주 최종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