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을 강타한 “축사 지킴이” 조금 기다린 후 꼭 보셔야합니다..
홈페이지로 이동
날씨가 더워지면서 곳곳에서 돈사 화재 사건이 빈발하고 있다.
경기도 포천과 이천, 충북 충주 등지에서 돈사화재가 발생, 한 돈사에서 2,000여 마리가 몰사 하는 등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돈사 화재는 전기 누전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분만돈사 등에서 과도한 전기의 사용으로 전선이 부하를 받아 불이 나기 때문이다.
돈사의 시설 구조도 화재 발생과 큰 연관을 지니고 있다.
무창 돈사의 보급으로 돈사내부가 노출되지 않고, 특히 우레탄 등을
돈사 내·외부에 살포한 농장들이 늘면서 화재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우레탄은 불에 쉽게 타기 때문에 사소한 부주의에도 불이 옮길수 있다고
시설 관계자는 전했다. 특히 무창돈사의 경우는 내부에서 불이 나도 외부에서 알기 어렵기 때문에
피해규모가 커진다고 전했다.
돈사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규격 전선을 사용해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내연재 등으로 단열 시설을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8월2일 오후 1시 54분 경 신모(증평읍 남차리)씨 소유의 돈사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해 기르던 돼지 180여 마리가 타 죽고 4천만 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
*******7월 20일 새벽 4시경 부여군 석성면 증산리의 한 돈사에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불이나 2천 5백여만원(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를 내고 20여분만에 진화되었다.
이날 화재로 인해 돈사에 있던 어미 돼지 22마리와 새끼돼지 228마리 등 총250마리가 불길을 피하지 못하고 불에 타 숨졌다.
*******6월28일 오전 10시30분께 전남 함평군 손불면 장모씨(49)의 돈사에서 원인이 밝혀
지지 않은 불이 나 사육시설 700여평을 태워 1억원 상당(소방서 추산)의 재산 피
해를 낸 뒤 40여분만에 꺼졌다.
이날 불로 인명피해는 다행히 없었으나, 사육중인 돼지 450마리와 새끼돼지 2000
마리 등 모두 2450여마리가 연기에 질식되거나 불에 타 죽었다.
*******5월9일 오전 5시30분께 경남 창녕군 대지면 본초리 모 돈사에서 누전으로 추
정되는 불로 돈사 건물과 돼지 1300마리가 불에 타...
******.4월24일 오후 2시께 전북 정읍시 덕천면 상학리 최모(45)씨의 돼지 축사에
서 불이 나 돈사 2채 800여평과 돼지 3천여마리를 태워 .......
******돈사 화재 돼지 1천500마리 소사. 지난4월 20일 오전 10시 50분쯤, 경주시 외동
읍 북토리 45살 김 모 씨의 돈사에서 불이 나 돼지 천 5백 마리가 불에 타 죽고
돈사 4개 동이 완전히 불에 타.......
양돈/양계 농가 최초 양방향 무선원격제어시스템 개발
휴대전화로 돼지우리를 원격 제어해 양돈 농가의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이른바 ‘돈사 지킴이’ 장치가 개발됐다.
경남 진주시에 소재한 연암공업대학 창업보육센터 창업동아리 BIT1010팀 (2004년 대한민국 창업대전 대상 수상)은 돈사에 이상이 있을 경우 휴대폰으로 이상 유무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돈사 지킴이 장치를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정전이나 고온,저온,환풍기고장,침입등 돈사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돈사에 설치된 무선세스가 원격 제어장치에 입력된 휴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미리 내장된 음성으로 고장 상태를 알려준다.
또한 농장주가 돈사에 설치된 원격제어 장치에 전화를 걸어 이상 유무도 음성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연암공업대학 창업동아리팀이 개발한
이른바 돈사지킴이는 돈사에 이상이 있을 경우 휴대폰으로 문제점을 곧바로 알수 있는
편리함도 있지만 반대로 이상 유무를 농장주가 외지에서 휴대폰으로 직접
점검할 수 있는 양방향 원격시스템이란 점에서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돈사에 무선센스와 무선경보기등을 설치한 뒤 휴대폰에 연결만하면
돈사환경을 휴대폰이나, 관리인실에서 수시로 확인 감시해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시스템 설치를 희망하는 농가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연암공업대학 창업동아리 BIT1010팀 (지도교수 권성갑)은 지난해 5월부터
대한 양돈협회를 통해 전국 양돈농가들에게 공급 하고 있다.
문의 ☎055-751-2199, 016-881-5451
"http://www.telebi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