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사육이 부른 재앙… "쓰나미는 예견됐다'
'조류인플루엔자 대공습, 잔인한 봄'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되고 있는 조류인플루엔자 사태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해법을 모색하는 기획특집을 마련했다. 다섯 번째 순서로 밀식과 밀집 등 재앙을 부른 가금류 사육환경의 문제점을 짚어본다.
전염병 발생과 확산에 있어서 사육환경의 위험요인은 농장의 가축 밀식사육과 함께 농장의 집단 밀집을 꼽을 수 있다.
축산법이 규정한 산란계와 육계의 사육기준은 닭장에 가둬 키울 경우 1제곱미터당 23 마리 정도, 가둬놓지 않을 경우 이보다 사육 마릿수가 많다. 하지만 이것은 권장사항인데다 제재도 없기 때문에 이 기준이 지켜지는 경우는 드물다.
축산당국은 밀식사육을 할 경우 조류인플루엔자 등 질병에 노출될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클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전라북도 이성재 방역담당은 "집단으로 사육한 곳에서 지금까지 많은 문제점이 노출됐고 그런 곳은 시설이 열악해 환경적으로 질병에 노출될 확률이 크다"고 지적했다."
또, 농장이 대규모로 밀집해 있을 경우 전염병 발생시 농장하나 하나가 도화선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시설이 열악한 간이 축사시설이 밀집하면 공멸에 이르는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실제 이같은 최악의 상황이 발생한 곳이 올해 조류인플루엔자가 첫 발생한 전북 김제시 용지면이다.
이곳의 사육농가는 닭 101 농가에 184만 마리, 그리고 오리 6 농가에 6만 마리 등 190만 마리로 면 자체가 집단 농장에 다름없다.
이곳 김제 용지면에서는 첫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꼬리를 물고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로 쑥대밭으로 변해 축사마다 텅텅 비어있다.
전북지역 산란계 사육규모의 40%를 차지하는 이 지역에서는 현재 발생농장 반경 10km 경계지역에 있던 산란계 농장 1곳만 유일하게 살아남고 나머지 99%의 닭과 오리는 모두 살처분됐다.
따라서 축사 설치시 일정 간격의 이격 거리를 두면 전염병 차단 효과가 있다. 충남대 수의대 이상희 교수는 여건이 되면 축사 간 거리를 두는 것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공간 확보와 민원 해소 측면에서 최선의 조건을 찾는 것이 그리 쉽지 않고 이 같은 난제를 어떻게 해결하는냐 하는 것이다.
환경단체는 이번 조류인플루엔자 사태와 관련해 공장형 밀식 사육과 열악한 사육환경이 사태를 키운 측면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정책실장은 " 대규모 공장형 밀식이라든지 최소한의 사육환경을 제도적으로 보장하지 못한 측면이 피해를 키웠다"고 말했다.
전국을 휩쓸고 있는 조류인플루엔자 사태는 방역시스템의 제고는 물론 가축 사육환경의 개선까지 적지 않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