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목별 생산·유통·가공·소비·수출입·정책 종합연구

 농림수산식품부는 주요 농축수산물 29개 품목의 생산·유통구조 개선 대책 등을 상시 연구하는 모임인 「품목별 연구회」를 ‘09.6월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 「품목별 연구회」는 주요 농축수산물 29개 품목의 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분야별 전문가와 비농업계(산업, 문화계 등)   전문가, 현장 종사자 등으로 구성되며,   

  * 29개 품목 : 생산액, 수출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

   - (식량1) 쌀, (채소·특작9) 고추·버섯·배추·딸기·토마토·파프리카·인삼·마늘·양파, (과수6) 사과·배·감귤·포도·단감·백합, (축산7) 한우·돼지·닭·계란·우유·양봉·오리, (수산6) 넙치·전복·김·고등어·멸치·오징어

 ○ 해당 품목의 생산단계에서 부터 유통, 가공, 소비, 수출입,  정책분야 등 품목산업 발전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연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특히,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지난해부터 추진중에 있는 29개 품목의 가치사슬(value chain) 분석과 해결과제에 대한 정책화 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게 된다. 

 현재, 농축수산분야의 연구모임은 학계 등을 중심으로 학회, 연구회 등의 이름으로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는데,

 ○ 대부분 특정주제(생산분야, 가공분야 등)에 한정된 연구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품목별 생산에서 유통·가공·소비·수출입·정책분야 등에 대한 종합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기능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농식품부는 기존 연구모임의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고, 품목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실질적 연구를 실현하기 위해 이번에  품목별 연구회를 운영키로 하였으며,

 ○ 초기단계는 농식품부의 품목 담당부서에서 연구회 운영을 주관하고, 앞으로 품목별 대표조직이 설립되면 동 대표조직에서 연구회를 운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 「품목별 연구회」는 ‘09년 6월 하순부터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