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축산경제 통합땐 축산사업 위축·조합원 이탈 불보듯
완전한 축산 독립사업부 존속 주장…축산계 전문성 강조

신정훈, jhshin@chuksannews.co.kr

등록일: 2009-06-10 오후 1:32:27


농협중앙회가 사업(신용·경제) 분리에 대해 ‘농협안’을 확정하는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축산분야의 사업특성과 전문성을 고려해 ‘농협축산경제’를 존치시켜야 한다고 요구해온 축산인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농협중앙회는 최근 협동조합 정신에 맞게 자율적으로 사업분리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대내외적으로 강조하면서 ‘사업분리안’을 마련하기 위한 내부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농협은 지난 5일 중앙본부에서 각 사업부문별 팀장 이상 간부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구조 개편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사업부문별로 각각 만든 사업개편방안을 주무부서장들이 발표했다.

교육지원을 비롯해 농업경제, 신용경제, 축산경제부문이 이날 각각 발표한 사업개편방안의 공통점은 독립사업부제를 강화한 후 단계적으로 사업분리를 추진하겠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축산경제부문이 완전한 독립사업부제 실시를 거쳐 축산경제연합회와 농업경제연합회를 각각 두고, 상호금융연합회와 금융지주로 사업을 분리하는 방안을 내놓은데 비해 다른 부문들은 모두 농업경제에 축산경제를 합치는 것을 전제로 밑그림을 그려 축산업에 대한 큰 인식차이를 드러냈다.

특히 농업경제가 발표한 사업개편방안에는 제1단계부터 완전한 독립사업부제를 목표로 지금의 축산경제 조직을 2개 부서로 축소해 농업경제 내에 축산지원부(경제지원본부), 축산사업부(유통분사)만 남기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다른 부문 직원들과 대조적으로 활발하게 토론에 나선 축산경제부문 직원들은 “농업경제에 축산경제를 통합시킬 경우 농협 전체의 축산사업은 축소되고 축산조합원들은 민간업체와 축종별 생산자단체로 급속하게 이탈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일각에서 통합의 논리로 들고 있는 중복기능 해소에 따른 비용절감과 유통의 시너지 창출에 대해서도 중복되고 있다고 지적하는 기획기능은 소수에 불과하고, 그 인원도 농협이 축산사업을 계속한다면 대부분 유지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축산물과 농산물 유통을 합치면 시너지가 창출될 것이라는 주장은 생산, 도축, 가공, 유통, 판매까지 사업, 지도, 정책 등 전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돼 추진되고 있는 축산업의 유통현실을 전혀 모르는 탁상공론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축산경제부문 직원들은 소모적인 논쟁을 지양하고 각자 전문성을 갖고 사업 활성화에 매진하자고 입을 모았다.

이날 토론회 소식이 전해지면서 ‘농협축산경제’ 존치를 요구해온 축산관련단체와 축산인들은 농협이 축산업을 포기하는 불행한 사태가 일어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농협중앙회가 내놓을 ‘사업분리안’을 끝까지 지켜보면서 축산업의 전문성을 무시하는 결과가 도출될 경우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한편 농협중앙회는 이날 발표된 부문별 사업개편안을 중심으로 오는 18·19일 부산에서 이사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오는 24일 이사회 의결을 거쳐 29일 대의원회를 열고 사업분리에 대한 ‘농협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