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5월11일자 (제2143호) “지역조합 통폐합…규모화 서둘러야” |
정예조합원 의무출하제 도입…물량 안정 확보 품목조합, 외부자본 등 유치…가공사업 확대를 ㈔한국축산경영학회가 주관하고 농협중앙회가 주최한 2009 축산업의 장기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축산심포지엄이 지난 7일 한국마사회 대강당에서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박종수 충남대 교수는 ‘축산업의 발전과정에서 농협의 역할과 향후 과제’란 주제발표를 통해 협동조합이 기업과의 경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실현이 필연적이라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M&A는 조직의 목적이 아니고 조직의 생존과 조직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라며 “지역조합의 경우 광역 지역간 과감한 통폐합 및 한우사육밀도가 높은 지역의 대표한우조합으로 전환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비축산조합원의 퇴출과 정비를 통한 정예조합원 중심의 조합 운영 및 지도, 지원이 필요하다”며 “안정적인 물량확보는 조합의 거래교섭능력을 제고시키고 농가수취 가격제고로 연계되므로, 정예조합원과의 생산·출하협약 등을 통한 의무출하제도를 과감히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박종수 교수는 낙농, 양돈, 육계 등의 품목조합에서 가공사업은 수급조절과 부가가치제고를 위해 필수적인 사업이므로 조합합병을 통한 규모화와 더불어 외부투자의 유치나 목적출자 등을 유도해 자본력을 키울 것을 제안했다. 또한 축산분뇨 자원화 체계 확립 등 소비자 지향적인 환경친화적 축산업을 선도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농협개혁과 관련, 이승호 축산단체협의회장은 “기본적으로 경제사업연합회의 자본금 확충방안과 금융부문의 이익금이 경제사업으로 일정부문 안정적으로 배당될 수 있도록 법제화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 회장은 “축산강국과의 FTA추진을 비롯해 급변하는 대외무역환경 변화 속에 축산업의 지속발전을 위해서는 축산경제의 역할이 중요하며, 농협개혁과정에서 축산업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며 “농업경제와 축산경제를 유지해 품목별, 축종별 전문성 보장을 기본원칙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축협을 포함한 회원조합의 구조조정 문제는 단순 합병위주로 구조조정이 전개될 경우 지배와 경영구조의 왜곡을 가져올 것”이라며 “판매 중심으로 단계별로 개편되는 과정을 거쳐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서상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