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아리 물량 부족 백세미 공급 대체…보합세 전망

 

등록일: 2009-04-24 오전 9:13:05

 
 
 
최충집 마니커 사육본부장
 
도계수수·수입량 감소…닭고기 공급량 줄 듯
육계 생산원가 1천700원~1천750원/Kg 예상


2009년 4월 육계 시황을 예측하면서 걱정 했던 부분은 종계 환우 및 연장생산 등에 기인한 초생추 생산 물량 증가였다.

2009년 3월 육용종계 배합사료 월별 생산량 자료를 보면 전년 동월 보다 9.4% 증가한 21,140톤이 생산됐고, 2009년 3월 10일 조사된 양계협회 종계 DB 자료 또한 5,966천수로 전년대비 3.76% 증가 된 것으로 조사 됐으나,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초생추 생산 물량을 증가 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3월 초순 이후 생산 물량 증가로 초생추 수급 문제가 해결 될 것이라는 예상에도 불구하고 3월 중 하순 까지 초생추 부족 현상이 지속된 바 있다.이는 종계 생산성(산란율 및 발생율) 저하가 과거보다 크게 나타났기 때문으로 보이며, 2009년 4월 까지 크게 호전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다만 초생추 시세가 오랜기간 동안, 높은 가격인 700원으로 유지됐고 환우 및 연장 생산에도 불구하고 부족 현상이 지속된다면 다른 해결책들이 동원 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백세미 생산 등)
 
 
최근 높은 초생추 가격에 의해 세미 물량의 공급은 상대적으로 축소 될 수 밖에 없고 초생추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백세미 공급량을 늘리는 쪽으로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육계 세미 공급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배합사료 가격은 3월말~4월 중순 대미 환율의 안정으로 5월 사료가격은(3월 21일~4월 20일 기준 평균 TT 매도율은 1,364원/$) 다소 큰 하락을 예견할 수 있으나 최근 국제곡물가격 등이 다시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어 초생추생산비와 육계생산비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해야만 할 때가 된 것으로 보인다.

2009년 5월 초생추 가격은 700원/수로 보합세가 전망된다. 육계시황은 1,900원~2,100원/Kg 수준으로 전망되며 도계수수 및 닭고기 수입량 감소(환율 급등 문제로 수입량 감소) 및 비축재고 감소 등을 고려하면 닭고기 총 공급량은 감소가 예상된다. 

향후 백세미 생산량 변화가 시장가격에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며 5월 육계 생산원가는 1,700원~1,750원/Kg(육계 직접생산비) 수준으로 추정된다.
 
 

< 저작권자 © 축산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