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계 생산원가 1천750원~1천800원/Kg 예상 2009년 3월의 육계 시황을 1천800원~2천000원/Kg 수준으로 예측하면서 가장 우려 했던 점은 2008년 10월부터 11월 사이에 종계환우가 상당부분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2009년 1월 종계 사료량의 증가 및 종계 DB 자료(65주령이상 수수의 증가)로 이를 확인한 바가 있다. 2009년 2월 종계 사료량 또한 2008년 2월 대비 6.9%가 증가해 우려했던 것처럼 2009년 3월 초생추(병아리) 공급량이 크게 증가 할 수 있었으나, 환우 계군 및 신규 계군의 종계 생산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3월 초순이후 초생추 가격 하락이 예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700원/수(양계협회)의 가격이 유지 되고 있으며, 5월 5일 어린이 날 출하 물량에 대한 입식 이후에도 열기가 식지 않는다면 당분간 초생추 가격은 600원~700원/수 대의 가격이 유지될 수 있다고 본다. (표 참조) |
||||
시황과 관련 크게 기대했던 배합사료 가격 인하는 3월 초 대미 환율의 폭등으로 (4월 적용 TT 매도율은 1천500원/$ 이상으로 추정됨) 2009년 4월 큰 폭 하락은 기대 할 수 없게 됐다. 최근 다시 오르고 있는 국제 곡물 가격 등을 고려 해 볼 때 초생추생산비와 육계생산비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해야만 할 때가 된 것으로 보인다. 2009년 4월 초생추(병아리) 가격은 600원/수~700원/수로 보합세로 형성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육계가격은 1천800원~2천000원/Kg 수준으로 전망된다. 도계수수 및 닭고기 수입량 감소(환율 급등 문제로 수입량 감소) 및 비축재고 감소 등을 고려하면 닭고기 총 공급량은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육계 시황에 있어서 생산원가가 크게 증가 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과거와 같은 호황은 바라볼 수 없으며 3월 초 폭등했던 환율 등을 고려하면 배합사료의 가격 하락 폭도 미미 할 것으로 예견돼 생산비의 하락도 크게 기대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고 판단되고 있다. 앞으로 4월 육계 생산원가는 1천750원/Kg~1천800원/Kg 수준으로 추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