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는 연구로 ‘맛있는’ 닭 만든다
직접 무창계사 설계 신축…단열효과 극대화 산내들농장의 김의겸 대표는 쉬지 않고 공부한다. 연암대 축산과를 졸업한 그는 건국대 농축대학원 CEO 과정을 거쳤고 현재는 한국농업벤처대학에 재학중이다. 김 대표는 사료공장과 산란계농장에서 17여년 근무한 뒤 2000년 3천평 부지에 육계 4만수를 가지고 육계사육과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육계와 맞는 사료와 약품 환경이 무엇인지. 어떠한 환경에서 키우면 맛있는 닭이 나올 수 있는 지를 집중 연구했다. 그 결과 산내들농장에는 질병이 거의 없고 생산성도 매우 높다. 김 대표는 닭을 잘 키울 수 있는 방법으로 철저한 기록관리를 강조한다. 기록을 통해 한번에 사양관리를 살필 수 있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가지고 도전해 더 나은 발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HACCP은 사양관리의 좋은 기준이 된다. 농가들이 HACCP 등 정부에서 진행하는 마크를 받으면 정부에서도 조금은 농가들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해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라는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시설관리면에서도 남다른 면이 있다. 직접 설계 신축한 무창계사는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닥에 스티로폼을 10% 깔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함과 동시에 단열 시공 시 벽·천정을 같은 두께로 시공하지 않고 천정에 50%, 벽 40%로 열이 분산되는 것을 막았다. 닭에게도 정성이 가득하다. 현재 가온방식으로 LPG 가스 육추기를 사용함과 동시에 열 환풍기로서 온도를 맞춰가고 있다. 봄과 가을은 크로스 환기방식(음압식 환기), 여름에는 대형 휀을 통한 터널식 환기로 입기구에는 쿨링패드를 설치해 외기 온도보다 4~5도를 낮춰 폭서에 대책을 세워 닭에게 호텔 같은 무창계사를 만들어 가고 있다. 특이한 점은 처음 입추한 병아리에게 사료를 동시에 먹일 수 있도록 사료 급이기 밑에 종이를 깔아둬 그 종이 위에 사료를 넣어 모두가 골고루 먹게 만든다는 점이다. 노금호 기자(축산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