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방법 표준화·현장 지침 매뉴얼도 필요 |
국립수의과학검역원과 한국HACCP연구회가 지난 5일 검역원 대강당에서 개최한 축산분야 HACCP제도 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토론회에서 홍종해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는 “HACCP의 이론은 훌륭하지만 각 업소에 적합한 HACCP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이를 준수해 운영하기는 더욱 어렵다”며 “이 제도를 제대로 운영키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해 계획되고 수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교수는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HACCP를 적용한 식품의 생산량을 현행 30%에서 95%까지 확대한다고 밝혔지만 이를 실무에서 적용 가능한지가 숙제로 남아있다고 주장했다. 홍 교수는 “농식품부의 업무가 판매단계까지 확대됐지만 실제 현장의 인력증원은 보강된 것이 없다”며 “현장의 전문 관리 인력을 확대하지 않고 규모만 키운다면 오히려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범준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도 “현장 실험실 요원의 전문성 부족으로 위해요소의 분석은 물론 한계기준도 작업 과정상의 특성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도축장들이 다수 존재한다”며 “전문성 있는 실험실 요원들의 확보는 물론 도축장 검사관들을 적극 활용해 미생물 검사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HACCP 운용에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처럼 전문인력 육성과 함께 현장 적용이 동일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방법과 교육·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종해 교수는 “현장 평가 결과를 정량화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며 “이는 평가관들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소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상근 CJ 진천육가공 공장장은 “처음 HACCP를 시작하는 업체의 경우 새로 만들어야 하는 문서가 방대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 막연하다”며 “현장 지침 등을 매뉴얼화 해 공통으로 사용하고 업체에서는 필요한 문서만을 작성·관리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HACCP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주문했다. 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은 “기록할 문서들이 많다 보니 기록관리가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있어 기록장을 간소화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김영민 기자(한국농어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