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육협, ‘농가 전액 부담’ 수용 여부 설문 ‘논란’ 양계협 “의도적 불참의사 유도” 반발…갈등 증폭 오랜 표류끝에 자조금관리위원회 구성에 성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던 육계 의무자조금 사업 출범에 또다시 짙은 암운이 드리워지고 있다. 자조금 부담과 운영주체를 놓고 육계계열업계와 농가간 갈등이 수면위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계육협회(회장 서성배)는 지난달 중순부터 전국의 계열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자조금 관련 설문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설문은 ‘육계의무자조금 추진시 자조금 분담액 전액을 사육농가가 부담하는 내용을 알고 있는지’와 ‘육계자조금 전액을 부담하면서 참여할 의사가 있느냐’를 묻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육계 3만수 사육농가에서 연간 75만원(5회전 기준)을 납부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고 있다. 계육협회측은 이와관련 “자조금부담자가 운영주체가 되도록 해야한다는게 우리(계열화업계)의 입장이며, 정부에도 관련법의 개정을 건의해 왔다”며 “자조금을 부담한다는 전제라면 농가 주도의 운영체계가 당연하지만 나중에 입장이 바뀌어 계열업체들에게 (자조금을) 내라고 하면 안되는 것 아니냐”고 그 배경을 밝혔다. 즉, 대한양계협회측에서 자조금을 육계농가가 부담하겠다고 밝혀온 만큼 일선 농가들이 이러한 사실을 숙지하고 있는지, 또 수용하는지부터 확실히 파악하는게 순서라는 것이다. 특히 농가들의 반대가 많을 경우 관련법에 의거, 양계협회 주장대로 자조금 사업이 추진돼서는 안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에대해 양계협회측은 “설문조사 내용을 보면 의무자조금을 하지 말자는 의도가 그대로 담겨있다”며 더구나 “계열회사 직원들에 의해 설문조사가 이뤄지는 상황에 공정한 설문이 나오겠느냐”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설문조사를 빌미로 의무자조금 사업 출범을 방해하고, 그 실패에 대한 책임은 회피해 보자는 목적이라는 분석이다. 양계협회의 한관계자는 “계열화업계에 절대로 자조금부담을 전가시키지 않겠다고 공언해 왔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자조금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확산시키려는 처사는 즉각 중단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지금까지의 집계만으로는 불참의사를 밝힌 농가비율이 월등한 것으로 알려져 또다른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뜻있는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의 논란은 자조금 운영주도권을 둘러싼 계열업계와 농가간 ‘힘겨루기’가 다시 표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면서 “진정 상생을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를 먼저 생각해 달라”고 주문하고 있다. |
노금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