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수매 시작일부터 2개월간 추진

AI 조기종식을 위해 방역조치도 강화키로

정부가 AI 장기화로 인해 가금류 소비가 급감함에 따라 정부수매를 실시키로 했다. 또 방역체계를 보다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15일 AI 발생지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가금산물 소비가 급감소함에 따라 이동제한지역 외의 일반지역의 육계, 오리, 토종닭을 수매키로 했다.

또한 중장기적인 수급불안 해소를 위해 종란과 종계 일정량을 폐기 처리하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으며 재고량 누적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닭·오리 계열업체와 계란집하장 등에서는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수매기간은 수매 시작일로부터 2개월 동안 추진되며 수매가격은 수매 당일 전주의 일주간 산지 평균가격을 기준으로 한다.

농식품부는 이번 조치로 일반지역 생산농가의 경영난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현재 시중에 유통 중인 닭, 오리, 계란 등은 안전함으로 안심하고 소비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AI발생이후 이동제한 지역 내에서 총 183만1천수가 수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AI가 지속적으로 발생됨에따라 방역조치를 한층 강화해 조기종식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우선 전국 가금류 도축장 61개소에 대해 출하 닭·오리에 대해 임상검사증명서 휴대 의무화, 증명서 미첨부 닭·오리 도축금지 조치키로 했다. 또 전국 상설 닭·오리 판매 재래시장 83개소에 대해서는 자진폐쇄를 유도키로 했다.

이와 함께 AI 확산의 주범으로 지적되고 있는 재래시장 및 가든 식당 등에 출입하는 운반 차량에 대한 세척·소독 확인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AI 진정시까지 닭·오리 분뇨의 사육시설 밖으로 반출을 제한하고 친환경 오리농법 시행자제 및 오리농법이 시작되는 6월초부터 오리농법에 투입된 오리의 주기적 점검(검사) 실시키로 했다.

아울러 매주 수요일 ‘전국일제소독의날’ 실시하는 공동방제단(3천878개반)의 활동을 소, 돼지 중심에서 닭·오리농가로 전환하고 소규모 농가 소독활동을 지원키로 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AI가 갈수록 확산됨에 따라 현재 경계단계에서 심각단계로 상향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각단계로 상향조정될 경우 현재 농식품부에 설치된 AI비상대책상황실이 국무총리실에 설치되게 된다. 

이희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