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업계, “지원규모 타 축종 비해 터무니없이 적어 생색만” 불만
사료특별구매자금지원이 한우, 양돈, 낙농산업과 일반 양계 및 오리농가에만 지원이 한정되면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닭·오리 계열사와 양록업계가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일반 닭과 오리 농가들은 지원액수가 턱없이 부족해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정부를 비판하고 나섰다.
현재 사료가격 급등과 AI 발병으로 소비가 급감하면서 대부분의 계열사들이 어려움에 처한 가운데 중소규모의 계열사와 자금흐름이 좋지 못한 몇몇 중소계열업체들은 사료값 부담에 적자폭이 점차 커져가면서 도산위기에 몰려 있다.
모 계열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대비 사료값이 월 8~10억원 정도가 추가로 들어가고 있다고 전하고 여기에 AI로 소비까지 부진해 대부분 물량이 냉동보관되면서 자금확보에 비상이 걸렸다고 전했다.
전북지역 몇몇 중소계열사들은 현재 부도 직전까지 몰린 상황으로 하림 등 대형계열사들이 현 상황만 넘기면 가격이 회복되면서 적자 부분을 만회할 것으로 보이지만 중소계열과 일반도계장들의 경우 소비가 회복되는 시점까지 견딜 수 있을지 미지수다.
오리업계는 상황이 더욱 심각해 거래가 대부분 끊기면서 자체적 오리고기 판매를 통한 자금확보는 사실상 전무하다는것이 오리업계관계자의 말이다.
일반 양계농가들의 경우 사육규모가 규모화된 양계산업의 특성상 농가당 사료구매비용이 일반 축우농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규모임에도 한우나 낙농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 5000만원을 책정한 것은 탁상공론이 낳은 결과라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지원대상에서 빠진 축종도 있다. 대가축으로 분류, 사료 구매량이 많은 양록의 경우는 지원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등 기타가축으로서의 설움을 곱씹고 있다.
강준수 양록협회장은 “사료를 급여하는 축종이라면 사료가격 폭등으로 모두 어려움에 처한것은 마찬가지인데 이번에도 양록은 지원대상에서 빠졌다”며 4대 축종 위주의 정책 결정에 불만을 토로했다.
한편,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이번 사료구매특별자금이 지원규모도 턱없이 적을 뿐더러 상환기간도 너무 짧다며 사업의 전반적 재검토를 요구한바 있다.
김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