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력업체 도산위기…계약농가 사육비 지연 피해우려 생산비 상승·불황 이어 HPAI 인한 소비급감이 원인 긴급수매비축 자금·경영비 지원등 정부대책 시급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 AI)의 후폭풍속에서 육계계열화업체들이 연쇄부도의 공포에 떨고 있다. 이에 따라 그 피해를 떠않을 수밖에 없는 육계농가들의 불안감도 가중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사료가격 폭등으로 인한 생산비 상승과 불황속에서 지난해 1천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육계계열화업계가 HPAI 발생을 계기로 닭고기 소비마저 급감하면서 극심한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주에는 호남지역 유력 계열화업체가 2차 부도를 맞고 도산위기에 처하게 되면서 여타 업체의 연쇄부도 가능성마저 점쳐지고 있다. 특히 해당업체 계약사육농가들의 경우 이미 3개월이 넘도록 사육비 지급이 지연돼 왔던 것으로 알려져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계열화업계는 이에 대해 정부의 철저한 외면 속에서 이미 예견된 사태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이달 초 HPAI 발생 직후 20%가 감소한 닭고기 소비는 평택으로의 AI 확산 및 인체 감염논란이 촉발되면서 최근에는 60%이상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계열화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난 24일 “주문량이 평소보다 70% 가까이 감소했다”며 “이미 상당량의 닭고기를 자체 비축해 왔던 만큼 이제는 냉동 창고 확보조차 힘들 정도”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산지육계가격의 경우 큰닭을 중심으로 한 육계계열화업체의 비축작업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 지난 25일 현재 kg당 1천원선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부터 사료값 등 큰 폭의 생산비 상승이 본격적으로 이뤄진 것을 감안할 때 그 이전의 600원 수준에 불과한 가격이다. 하지만 계열화업계는 사료가격 폭등에 이어 이번 HP AI 발생에 이르기까지 각종 정부 대책에서 철저히 외면당해 왔다. 총 1조원에 달하는 특별사료구매자금 지원과 AI 발생에 따른 수매비축 사업에서 계열화업체들은 제외됐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계열화업체들의 경영부실이 심화, 계약농가들에 대한 사육비 지급이 차질을 빚으며 어음결제 등을 통해 일부에서는 최대 6개월 이상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계열화업체 대표는 “당장 직원들 봉급은 밀리더라도 사육비를 우선 지급하려고 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며 “기업이 아닌 전체 육계농가 가운데 85%에 달하는 계약사육농가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정부 대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호소했다. 따라서 긴급수매비축 자금과 경영비 지원 등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는게 계열화업계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