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단협, 사과·재발 방지책 촉구 

축산업 전반 국민적 불신 ‘우려’ 
“몸집 커진 닭은 개량·육종 결과”



한 방송사가 축산농가들이 가축에 항생제를 과다 투여하고 있다고 왜곡 보도하면서 농가들이 발끈하고 나섰다.

A방송사는 3일 경제 유튜브 프로그램 ‘기후로운 경제생활’에서 축산농가에서 여전히 가축에 항생제를 과다 투여한다는 내용의 대담 영상을 내보냈다. 영상엔 이러한 축산물을 섭취하면 인체에도 항생제 내성이 생길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7일에는 이 영상을 토대로 “치킨사랑 한국인, 무시무시하게 항생제를 먹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만들어 자체 인터넷매체에 공개했다.

남종영 기후변화와동물연구소장은 영상과 기사에서 “축산농장에서 여전히 항생제를 많이 쓰고 있다”면서 “다른 가축에 비해 특히 닭은 밀집 사육하기 때문에 더 많이 사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한 육계의 성장속도가 빠른 것은 항생제를 넣은 배합사료를 먹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국내 닭·오리는 1마리당 3.1g의 항생제를 쓴다는 2010년 이전 통계가 있는데, 이는 덴마크의 1000배, 영국의 26배”라고 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8일 성명을 내고 A방송사가 왜곡된 보도로 축산인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공식적인 사과와 함께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했다. 축단협은 “국내에는 2011년 7월부터 사료 내 항생제 첨가가 전면 금지됐고, 2012년 수의사 처방제가 도입돼 농가가 임의로 항생제를 사용할 수 없다”면서 “오래전 해결된 문제를 마치 현재의 사실인 것처럼 보도하며 축산업 전반에 국민적 불신을 야기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닭 몸집이 커진 것은 우수 품종을 선발하고 개량한 육종의 결과인데도 이를 항생제 사용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축산 기술에 대한 무지를 드러낸 꼴”이라고 꼬집었다.

축단협은 “국민 식탁을 지키고자 항생제 잔류는 다중의 안전장치로 엄격하게 관리된다”면서 “농가에서는 치료 목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하더라도 출하 전에는 투약을 중단하고 도축 과정에서도 기준치 이상의 항생제가 검출되면 해당 축산물은 즉시 폐기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1월부터 ‘잔류물질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를 시행하면서 소·돼지·닭 고기, 우유, 달걀을 대상으로 잔류물질을 검사하고 있다.

축단협 관계자는 10일 오전 본지와 통화에서 “성명을 냈음에도 A방송사나 출연자에게서 어떠한 연락도 오지 않았다”고 했다. 

이미쁨 기자

<농민신문 9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