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김경욱 기자]
육계 산지가 평균 kg당 1116원
지난해 대비 26% 가량 급락
생산비 추정 1600원 크게 밑돌아
도축 마릿수 감소에도 시세 암울
할당관세 정책이 가격 떨어뜨려
중장기 수급대책 빨리 내놔야
생산량 감소에도 생산비를 밑도는 수준의 육계 산지 가격 약세가 지속되면서 정부의 수급 대책 마련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양계업계는 지난 3년간 농가와 업계 목소리를 외면한 채 추진한 정부의 할당관세 정책이 육계 가격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했다며, 이번엔 육계 가격 회복을 위한 대책을 정부가 더 늦기 전에 내놔야 한다고 촉구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유통정보에 따르면 육계(대) 산지 가격은 kg당 12일 1171원, 13일엔 1025원을 기록하는 등 이달 들어 1~13일 평균 1116원을 형성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514원보다 26%, 2022년 1818원과 비교해선 39%가량 급락한 시세로, 가을 이후 생산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육계 산지 가격이 이어지고 있다.
대한양계협회가 추정한 생산비는 kg당 1600원, 통계청이 조사한 2023년 생산비는 1561원이다. 무엇보다 양계협회가 12일 발표한 양계속보에 따르면 1~11일 육계 도축 마릿수는 2355만8000수로 지난해 같은 기간 2527만2000수 대비 6.8%나 감소했다. 생산량 감소에도 시세마저 받쳐주지 못하는 최악의 흐름이 육계산업을 엄습하고 있는 것이다.
여러 악조건이 복합적으로 맞물린 여파가 도축 마릿수 감소에도 육계 산지 가격이 폭락을 거듭하는 이유로 양계업계는 분석한다. 우선 경기 침체에다, 프랜차이즈 업계의 치킨 가격 인상에 따른 소비 둔화가 육계 산지 가격을 떨어뜨린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정부가 2022년부터 올해까지 3년째 계속 진행한 수입 닭고기에 대한 할당관세도 시세 하락을 부채질한 것으로 양계업계는 보고 있다. 현재 할당관세 물량이 3년째 누적되며 가공업체가 수입산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소비 침체로 재고 물량까지 증가한 것으로 관련 업계는 추정한다.
양계업계에선 가격이 상승할 때만이 아닌, 가격 하락 시에도 닭고기 등 육계 수급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가격 담합 결정으로 업체 간 수급조절 행위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형국도 정부가 나서야 하는 이유라고 양계업계는 주장한다.
오세진 대한양계협회장은 “정부는 닭고기 가격이 조금 오르면 공급이 부족하다며 수입 닭고기 할당관세와 종란 수입을 진행하며 국내 계열사엔 공급 확대도 요청했다. 그랬다면 정부는 현재 약세를 거듭하고 있는 닭고기 산업에도 침묵해선 안 된다”며 “중장기를 아우르는 육계 수급 대책을 정부는 하루빨리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육계 대책 관련 농림축산식품부 축산경영과 관계자는 “최근 가격이 하락한 부분과 관련 당장 예산 전용 등은 어렵지만, 계열사들의 비축·재고량 부분을 파악하며 업계가 요구하는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업계에선 계열사 자금이나 융자금 형태의 지원을 얘기하는데, 전반적인 상황이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동향 등을 살펴보며 대응책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할당관세와 관련해선 “현재 검토하고 있는 내용이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한국농어민신문 11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