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 수출규격화 방안 모색 국제 심포지엄 개최
농진청과 공동으로 수출용 대형닭고기 생산을 위한 현장 연찬회도 겸해
(사)한국계육협회(회장 서성배)는 육계산업을 한단계 업그레이드시키고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코자 오는 9월 15일(수) 김제시청 대강당에서 '닭고기 수출규격화 방안'을 주제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대형육계를 생산하는 농가에서 현장 연찬회를 갖는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1.5㎏ 정도의 소형계 위주로 육계를 사육하고 있어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부분육 생산이 어렵다. 또한 한반도 주변에는 세계에서 닭고기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러시아 및 일본, 중국, 홍콩 등이 있으나 삼계탕 이외에는 수출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경영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도 대형육계 생산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대형닭고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1993년도부터 2002년도까지 10년간에 걸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33일 정도에 1.5㎏로 출하하는 것을 몇 가지만 바꾸고 1주일 정도만 더 키우면 2.7㎏ 정도의 왕닭을 생산할 수 있다.
대형닭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시설수준은 완전개방계사나 환경조절이 자유로운 무창계사 정도는 되어야 한다. 사육밀도는 출하체중을 기준으로 ㎡당 30㎏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또한 병아리 때 암수를 감별하여 분리입추하고 암컷은 33∼35일령에 출하하고 수컷은 일주일 정도를 더 키워서 2.5∼2.7㎏ 정도에 출하하면 된다. 무엇보다도 초기성장을 제한하고 후기에 보상성장 효과를 보기 위해서 점등 프로그램을 활용하며 0∼4일령 23L : 1D(L : Light, D : Dark), 5∼17일령 자연일조, 18∼22일령 18L : 6D, 23∼출하일령 23L : 1D로 하면 된다.
품질 측면에서는 닭고기 도체이상(창상, 멍, 외상 등)이 사육, 출하, 도계 등 전단계에서 매년 5∼20% 정도 발생하여 연간 300억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이에 한국계육협회에서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과 공동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년 전부터 연구를 수행하여 왔고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대응방향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한국, 일본, 미국, 영국의 육계 전문가들이 각국의 대형닭고기 생산, 유통과 도체이상 감소방안에 대하여 소개하고 닭고기 수출규격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계육협회 서성배 회장은 "이미 선진국의 경우 대형닭고기 위주로 생산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가슴육 등 부분육의 수요를 충당하고 비정상 닭고기의 품질을 높여 닭고기 수출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도 대형닭 생산이 필요하다"며 "이번 국제심포지엄을 통해서 우리나라 대형육계 생산 방안과 육계의 사육, 출하,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닭고기 도체이상 감소 방안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행사 일정표는 자료실에 게시되어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
(08-03-07)07년 동절기 AI 특별방역추진 평가 및 평시방역전환 계획.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