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종식...백신이 답?
[기획] 여름철 고병원성 AI 발생 대응책은 / 上. AI 백신도입?
백신 사용시 '토착화' 우려
지자체·학계 찬반 팽팽해


특별방역기간이 지난달 끝나자마자 고병원성 AI(조류인플루엔자)가 지난 2일 또다시 제주 토종닭 농가를 비롯해 전북 군산 등 전국 단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재발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2일 24시 기준으로 고병원성 AI발생지역은 제주, 부산 기장, 전북 군산, 익산, 완주, 전주, 임실, 경기 파주, 울산 남구, 울주, 경남 양산 등 6개 시·도, 11개 시·군에 달한다.

# AI 백신 개발 서둘러
 이번 고병원성 AI사태의 조기종식을 위한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한 가운데 가용할 수 있는 대책 중 최후 보루로 여겨지던 AI 백신 개발 및 접종과 관련해 농식품부는 백신개발, 접종 여부, 접종에 따른 부작용 방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책을 강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수공통전염병인 AI 바이러스를 백신으로 컨트롤하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고 백신 사용시 동남아, 중국과 같이 토착화 우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데다 전문가들마다 의견이 달라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고병원성 AI 발생에 따른 대책과 관련해 김용상 농식품부 방역관리과장은 “이달 말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항원뱅크 등 AI 백신 개발과 관련한 세부계획을 마련하면 조만간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확정할 계획”이라며 “농가, 지자체 등 현장의 어려움을 최대한 반영하고 필요한 요구를 반영하는 쪽으로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도 AI 백신개발 및 접종문제는 여전히 업계의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AI가 발생했거나 발생 중인 지자체와 그렇지 않은 지자체 간 입장이 다르고 학계 등 전문가들마다 백신 접종 찬반 입장이 맞서고 있어 백신 개발과 실제 접종 문제는 별개로 풀어갈 공산이 크다.

# 백신 접종 여부는 보다 신중해야
 그러나 AI가 여름철에 재발됐고 상재화 내지는 토착화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얘기 되면서 백신도입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점차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지난 8일 문재인 대통령이 백신 도입을 포함한 근본적인 대책을 지시하면서 당초 예상보다 백신 도입 여부에 대한 결론이 빠르게 나올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 박최규 경북대 수의학과 교수는 “이번 AI 재발은 상재화라고 단정 짓기보다는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AI가 아직까지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은 재발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는 만큼 AI 백신은 반드시 검토돼야 할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류영수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AI 백신이 임상증상만 막을 뿐 바이러스 배출량은 감소시키지 못해 바이러스 상재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백신을 맞지 않은 개체보다 바이러스 배출량은 현저히 감소되며 충분히 현재의 백신기술로 바이러스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면서 “전국백신이 아닌 링백신 등 한정적인 지역으로 백신을 도입한다면 바이러스 상재화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현재 백신 도입에 대한 인프라구축이 미비한 점을 지적하며 백신도입보다는 이번 사태로 문제점으로 드러난 현 제도에 대한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특히 백신을 도입한 나라에서 인체감염 사례가 있는 만큼 백신접종은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재홍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중국, 인도네시아 등 백신을 사용하고 있는 나라에서 인체감염 사례가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백신이 도입될 경우 이러한 문제 발생에 대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 인체감염 가능성을 경계했다.

모인필 충북대 수의학과 교수는 “현재도 AI가 어디에 잠복해 있는 지 관찰하는 시스템이 미비해 재발하고 있는 등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며 “이같은 상황에서 백신이 도입될 경우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AI 바이러스를 관리하기 더욱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모 교수는 또 “링백신 등 일부 산란계만 백신이 도입될 경우 백신을 맞은 산란계의 계란과 그렇지 않은 계란의 구분은 어떻게 할 것이며, 백신 계란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별방역기간이 지난달 끝나자마자 고병원성 AI(조류인플루엔자)가 지난 2일 또다시 제주 토종닭 농가를 비롯해 전북 군산 등 전국 단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재발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2일 24시 기준으로 고병원성 AI발생지역은 제주, 부산 기장, 전북 군산, 익산, 완주, 전주, 임실, 경기 파주, 울산 남구, 울주, 경남 양산 등 6개 시·도, 11개 시·군에 달한다.

# AI 백신 개발 서둘러
 이번 고병원성 AI사태의 조기종식을 위한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한 가운데 가용할 수 있는 대책 중 최후 보루로 여겨지던 AI 백신 개발 및 접종과 관련해 농식품부는 백신개발, 접종 여부, 접종에 따른 부작용 방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책을 강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수공통전염병인 AI 바이러스를 백신으로 컨트롤하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고 백신 사용시 동남아, 중국과 같이 토착화 우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데다 전문가들마다 의견이 달라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고병원성 AI 발생에 따른 대책과 관련해 김용상 농식품부 방역관리과장은 “이달 말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항원뱅크 등 AI 백신 개발과 관련한 세부계획을 마련하면 조만간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확정할 계획”이라며 “농가, 지자체 등 현장의 어려움을 최대한 반영하고 필요한 요구를 반영하는 쪽으로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도 AI 백신개발 및 접종문제는 여전히 업계의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AI가 발생했거나 발생 중인 지자체와 그렇지 않은 지자체 간 입장이 다르고 학계 등 전문가들마다 백신 접종 찬반 입장이 맞서고 있어 백신 개발과 실제 접종 문제는 별개로 풀어갈 공산이 크다.

# 백신 접종 여부는 보다 신중해야
 그러나 AI가 여름철에 재발됐고 상재화 내지는 토착화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얘기 되면서 백신도입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점차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지난 8일 문재인 대통령이 백신 도입을 포함한 근본적인 대책을 지시하면서 당초 예상보다 백신 도입 여부에 대한 결론이 빠르게 나올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 박최규 경북대 수의학과 교수는 “이번 AI 재발은 상재화라고 단정 짓기보다는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AI가 아직까지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은 재발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는 만큼 AI 백신은 반드시 검토돼야 할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류영수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AI 백신이 임상증상만 막을 뿐 바이러스 배출량은 감소시키지 못해 바이러스 상재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백신을 맞지 않은 개체보다 바이러스 배출량은 현저히 감소되며 충분히 현재의 백신기술로 바이러스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면서 “전국백신이 아닌 링백신 등 한정적인 지역으로 백신을 도입한다면 바이러스 상재화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현재 백신 도입에 대한 인프라구축이 미비한 점을 지적하며 백신도입보다는 이번 사태로 문제점으로 드러난 현 제도에 대한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특히 백신을 도입한 나라에서 인체감염 사례가 있는 만큼 백신접종은 보다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재홍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중국, 인도네시아 등 백신을 사용하고 있는 나라에서 인체감염 사례가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백신이 도입될 경우 이러한 문제 발생에 대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 인체감염 가능성을 경계했다.

모인필 충북대 수의학과 교수는 “현재도 AI가 어디에 잠복해 있는 지 관찰하는 시스템이 미비해 재발하고 있는 등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며 “이같은 상황에서 백신이 도입될 경우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AI 바이러스를 관리하기 더욱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모 교수는 또 “링백신 등 일부 산란계만 백신이 도입될 경우 백신을 맞은 산란계의 계란과 그렇지 않은 계란의 구분은 어떻게 할 것이며, 백신 계란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수축산신문 6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