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계산업, AI 출구전략]기반정비 움직임 활발…호주산 육계 종란 수입 추진
생산자단체 “농가 소득안정자금 지원 기준 현실화해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진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육계업계가 AI 피해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봄철을 맞아 기온이 오르면서 AI 발생이 잦아들었다. 2016년 11월부터 올 2월까지 한달 평균 90여건에 이르던 AI 발생건수는 3월 들어서 32건으로 줄었다. 4월엔 1일부터 4일까지 2건이 발생했다.

이처럼 AI가 주춤하자 농가와 업계 관계자들은 AI로 흔들린 산업기반을 추스리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며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선 한국육계협회는 수급안정을 위해 호주산 육계 병아리와 종란 수입을 추진 중이다. 이는 이번 AI 사태로 육계와 종계·종란이 살처분 또는 매몰돼 닭고기 수급에 차질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4일 기준 육계는 전체 사육규모의 5.5% 수준인 422만마리(토종닭 포함)가 살처분됐다. 종란은 1800만개가 폐기처분됐다. 특히 병아리는 품귀현상까지 나타나면서 한마리당 가격이 일년 전(320원)의 두배가 훌쩍 넘은 820원대를 형성했다.

하지만 호주산 육계 병아리와 종란을 국내로 들여오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 부화장 측이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을 부르고 있어서다. 업계에 따르면 호주 부화장들은 종란 한개당 국내 거래가격(300원 내외)보다 무려 3배 이상 높은 1000원을 요구한다. 병아리 역시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가격과 별반 차이가 없는 한마리당 800원 선에서 거래를 원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 가격대로 호주산 병아리나 알이 수입되면 유통비와 사육비가 추가돼 육계 산지값은 1㎏당 300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4일 현재 육계 산지값은 1653원이다.

이와 함께 농가들은 AI 피해를 보전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최근 논란이 일었던 소득안정자금 지원 기준을 재설정하기 위한 작업을 한창 진행 중이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육계 한마리당 소득인 183원의 70%(128원)를 이동제한으로 병아리를 입식하지 못한 농가에게 지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육계 소득은 통계청 자료를 기준으로 설정됐다. 하지만 농가들은 “이 금액이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며 격렬하게 반발했다. 대한양계협회와 육계협회 등 생산자단체는 실제로 농가들이 받는 소득을 근거로 지원 기준을 마련해줄 것을 농식품부와 협의 중이다.

이와 관련, 정병학 한국육계협회장은 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각 계열화업체로부터 자료를 받아 농가소득을 추산한 결과 2015년 농가 순수익은 닭 한마리당 347원, 2016년 341원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를 근거로 소득안정자금 지원 기준을 183원보다 높여줄 것을 농식품부에 요청했다”며 “닭고기 산업이 AI 상처를 딛고 빠르게 회복·성장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농민신문 4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