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경보 ‘심각’?…여전히 ‘심각’ 안하다
농가·지자체 등 방역주체, 의식강화 절실

AI 위기 경보단계가 ‘경계’ 수준에서 ‘심각’ 수준으로 격상됐지만 지방자치단체와 농가 등 방역주체의 의식은 크게 달라진 게 없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AI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16일 AI 위기 경보 단계를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이에 따라 AI 방역대책본부는 AI 중앙사고수습본부로 전환됐고, 모든 지자체엔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가, 전국 주요 도로엔 통제초소가 확대 설치됐다.

그러나 이같은 조치에도 일부 방역주체들은 여전히 낮은 수준의 방역의식으로 대처하고 있다.

가장 먼저 전국 지자체가 이동통제초소·거점소독소 등 방역통제초소를 확대·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이곳에서 소독을 실시하는 방역요원들은 소독요령 조차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 생산자단체 관계자는 “차량 바퀴를 꼼꼼하게 소독해야 하는데 형식적으로 소독제를 뿌리는 등 소독약만 낭비하는 일이 자주 목격된다”고 말했다.

일부 지자체의 방역의식도 ‘심각’ 수준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한 지자체는 농가별 사육마릿수와 같은 기본정보조차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축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사실 확인이 어렵다는 점에서 방역에 구멍이 뚫릴 수 있다는 허점을 노출한 셈이다. 또 이 지자체는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도로 현황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농가에서도 농장 출입구에 차량소독시설을 설치하지 않거나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해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방역상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부업으로 가금류를 사육 중인 소규모 농가 중에는 방역시설이 전무한 곳도 있었다.

전문가들은“이름만 심각 단계가 아닌 방역주체들의 의식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민신문 12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