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AI 청정국 복귀…민관합작 결실

우리나라가 지난달 28일 고병원성AI 청정국 지위를 회복했다. 2년 한달여만이다.

예전에도 청정국 지위를 잃었다가 다시 찾은 적이 여러번 있지만, 이번에는 감회가 더욱 남다르다. 그 기간이 긴 것도 있지만, ‘상재화’라는 위기를 넘겨서다.

지난 2014년 1월 16일 고병원성AI가 발생한 이후 국내 가금산업은 그야말로 고병원성AI와 처절한 사투를 벌어야 했다.

2천만수 가량의 가금류가 살처분됐고, 정부에서는 살처분보상금, 생계소득안정 자금, 입식 융자 등으로 2천500억원 가량을 지원해야 했다.

특히 시도 때도 없이 터지던 탓에 ‘상재화’ ‘토착화’라는 말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였다.

상재화를 감안해 방역정책을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도 고개를 들었다.

하지만 상시예찰 등 고강도 방역이 가동됐고, 결국 3개월간 추가 발생 없음 등 고병원성AI 청정국 지위회복 조건을 모두 채웠다.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언제부터 AI 발생국이었던가”하면서 이 땅에서 고병원성AI를 몰아내려는 민관합심 결연한 의지가 돋보였다.

이를 통해 국내 가금산업은 고병원성AI 발생국이라는 오명을 떨쳐냈고, 무역협상시 걸림돌이 되는 질병장벽을 무너뜨림으로써 다시 수출에 내달릴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청정국 지위를 회복했다고 해서, 고병원성AI로부터 완전히 해방된 것은 아니다. 상재화가 아니라고도 장담할 수 없다.

과거 백신접종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고서도 불과 수개월 만에 다시 구제역이 발생해 청정국 지위를 잃은 적이 있다. 그 때문에 당시 추진하던 여러 수출시도도 한 순간에 물거품됐다. 고병원성AI는 더욱 재발위험이 크다. 방심은 절대금물이다. AI 방역에 더욱 매진할 때다.

<축산신문 3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