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식품기업 (주)하림의 계약농가 평균 소득이 도시 근로자 가구의 3배인 2억5900만원에 달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생산성도 동반 성장하며 하림과 농가 간 동반 성장이 실현되고 있다.
하림은 2일 농가 소득 향상과 생산성 개선을 통한 ‘상생 경영’을 펼치고 있다고 밝히며, 지난해 560여 사육농가에 대한 연평균 농가 조수익과 생산성 결과를 공개했다. 

높은 농가 소득…2026년엔 2억8000만원 목표
하림에 따르면 계약농가 평균 조소득은 ‘2억5873만원’으로 2022년 대비 8% 상승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도시 근로자 가구 연평균 소득인 7600만원 대비 3배 이상, 전국 농가 연평균 소득 4800만원과 비교해선 5.3배 높은 수치다. 사육농가 소득은 2007년 8700만원을 기록한 이후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림은 지속적인 사육환경 개선과 무항생제·동물복지 사육을 확대, 사육 회전수 증대와 사육 전문화 기술교육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으로 2026년엔 농가 평균 사육 소득 2억8000만원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낮은 사료요구율과 높은 생산성
하림은 방역과 온도, 습도 조절이 탁월해 생산성을 높이는 ‘무창계사’ 확대에도 힘쓰고 있다. 2005년 기준 계약농가의 하우스형 보온덮개 계사 비율이 56.8%로 무창계사 10.6%보다 상당히 높았지만, 농가 사육환경 개선 지원사업을 통해 현재 무창계사 비율이 93%로 크게 확대, 개선됐다.
사료요구율(FCR, 가축 1kg 증가를 위한 사료요구량·kg) 향상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이루며 닭고기 시장 가격 안정화에도 기여했다. 하림은 1997년 FCR이 2.06으로 높았지만 지속적인 사육환경 개선과 전문화된 사양관리 기술교육 등을 통해 2014년부턴 육계 선진국인 미국의 FCR과 비슷한 1.5까지 낮췄다. 지난해 기준으론 FCR 1.43을 기록하며 하림 생산성이 글로벌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을 증명했다. 하림 기준 FCR을 0.1 개선하면 연간 사료비 120억원이 절감되는 효과가 나온다. 

상생 위한 복지정책과 다양한 인센티브
농가와의 상생을 위한 복지정책과 더불어 친환경·동물복지 사육 인센티브 등 다양한 지원 제도도 갖췄다. 무엇보다 농가가 도산하지 않고 지속적인 경영을 펼칠 수 있는 지원 사업에 매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농가의 단순 실수나 귀책으로 사육 실패를 해도 100% 변상비를 탕감해 준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따른 정부 보상금이 적어 원자재 상환액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도 하림이 보상 처리를 해준다. HACCP·친환경 인증 농가와 동물복지 농가엔 인센티브도 추가 지급하고 있다. 이 같은 사업 성과는 10년 넘게 도산 농가가 ‘제로’였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림은 이외에도 농가 자녀 장학금 지원을 하며, 고용을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앞장서고 있다. 
정호석 하림 대표이사는 “그동안 대한민국 육계계열화 사업을 이끌어온 하림은 계열화를 통해 사육농가 규모를 확대하고 사육 회전 횟수를 꾸준히 높인 결과 지난해 계약농가 평균 조소득이 역대 최대인 2억5900만원을 기록했다. 하림과 함께하는 농가들이 고수익을 실현하며 육계산업이 축산업에서 고부가가치 유망산업으로 성장해 가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농어민신문 4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