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이현우 기자]
대통령 생활물가 우려 후속조치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이 총괄
3개 분과 나눠 수급안정 등 논의
배추 4000톤 수매계약 등 추진
농림축산식품부가 물가 불안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농축산물 유통구조의 비효율성을 해소하기 위해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TF’를 구성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라면값 2000원’을 언급하며 생활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를 공개적으로 표명한 데 따른 후속조치로 풀이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9일 2차 비상경제점검 TF회의에서 “최근에 물가가 엄청나게 많이 올랐다고 한다. 라면 한 개에 2000원 한다는데 진짜냐”라고 묻고 관계부처에 대책 마련을 지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농식품부는 18일 물가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고 배추·계란·닭고기 등 농축산물과 가공식품에 대한 물가 안정 대책을 설명하면서 TF 구성계획을 밝혔다.
TF는 식량정책실장이 총괄하며 △농산물분과 △축산물분과 △식품외식분과 등 3개 분과로 나뉘어 운영된다. 각 분과장은 유통소비정책관, 축산정책관, 식품산업정책관이 맡는다. 단기적으로는 수급안정대책, 중장기적으로는 유통구조 개선 등 구조 개혁 방안을 논의한다.
TF 실무를 총괄하는 농식품수급안정지원단의 배민식 과장은 “이번 주 중 킥오프 회의를 시작으로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며 “우선 단기 수급안정대책부터 마련하고, 이후 유통구조개선대책 등을 마련하기 위해 생산자·학계·정부기관 등과 순차적으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또한 가공식품·외식 물가 안정 방안으로 △6월 30일 종료 예정이던 과일 칵테일 등 식품원료 4종에 대한 할당관세를 연말까지 연장하고 △음식점업 외국인 근로자 도입 요건을 완화하는 한편 △공공배달앱 소비쿠폰 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2차 추경안에 국산 농산물 구매자금 200억원을 반영, 중소·중견 식품기업의 경영부담을 완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여름배추 수급안정 대책도 함께 공개됐다. 농식품부는 8~9월 출하물량 확보를 유도하기 위해 농협·산지유통인을 대상으로 4000톤 규모의 사전 수매계약을 체결하고, 배추 예비묘 250만주를 공급하고 있다. 여름철 기상악화에 따른 공급 감소에 대비해 봄배추 수매비축 물량을 전년대비 50% 이상 확대, 정부 가용물량 2만3000톤을 추석 전까지 수요처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자체 저장시설이 없는 소규모 김치업체에 정부가 직접 배추 5000톤의 정부 보유 배추를 시기별로 공급하고, 중장기적으론 여름배추 수입안정보험(2026년)과 대체 재배적지 발굴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농어민신문 6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