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김경욱 기자]
품질·안전성 확보…수입산과 차별화
재해보험 보험금 지급액 상향 모색
왕겨 수급 불안 등 대응 계획도
2022년부터 3년째 이어진 할당관세에다, FTA 등 각국과의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관세 철폐로 닭고기 수입량이 늘며 계속해서 유지됐던 닭고기 자급률 80% 선이 붕괴됐다. 2025년에도 수입 물량과 수입 재고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육계업계에선 2025년도엔 자급률 회복을 최우선으로 해결할 과제로 삼고 있다.
한국육계협회는 이 자급률 회복의 핵심 도구로 국내산 닭고기 ‘품질보증마크’ 확대를 내세웠다. 2020년 11월 축산단체 최초로 통계청으로부터 품질보증마크에 대한 증명표장을 획득한 육계협회가 1년여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22년 2월 첫 시행 이후 현재까지 5곳의 육계 계열화 업체들이 품질보증마크를 획득했다.
시행된 지 3년을 맞는 2025년도엔 품질보증마크 제도를 정착, 확대시키며 수입산 닭고기와의 차별화를 도모한다. 계열화업체들의 품질보증마크 인증을 유도하며, 소비자들에겐 품질보증마크 받은 닭고기 제품의 품질 우수성과 위생 안전성을 집중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육계 분야 재해보험 현실화도 도모한다. 보험금 지급 기준 금액이 오래돼 현실화되지 않았다고 판단, 현재 시세 기준 등에 맞게 보험금 지급액 상향을 추진한다. 무엇보다 폐사축 이외 소득손실분도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육계업계 목소리다. 이를 위해 육계협회에선 정부 기관인 국립축산과학원에 지급액 상향 기준 분석 검토도 요청할 계획이다.
닭이 누빌 공간인 양계장 바닥에 쓰이는 왕겨는 양계장엔 필수 아이템이다. 하지만 지역별 왕겨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A군의 경우 한 차(4.5톤)당 30만원, 그중에서 지자체 지원이 50%나 되는 반면 B군은 한 차당 90만원에서 100만원까지 형성돼 있지만 지자체 지원도 없다. 육계협회는 B군과 같은 지역은 육계사육 규모가 큰 지역 위주로, 왕겨 수요는 많고 공급은 부족해 벌어지는 현상으로 보고, 문제 진단 및 대응에 나선다.
김상근 한국육계협회장은 “2024년 육계업계는 2022년부터 3년간 이어온 정부의 할당관세 조치로 인해 국내산 닭고기 자급률 80% 붕괴와 치킨 가격 인상으로 인한 극심한 닭고기 소비 저하 등으로 얼룩진 해였다. 여기에 공정거래위원회의 부당공동행위 조사는 2017년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으로 우리 육계업계의 손과 발을 묶고 있다”며 “올해엔 닭고기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닭고기 소비는 제자리걸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이를 타개할 방안이 시급하다”고 전제했다.
이에 김 회장은 “협회에선 국내산 닭고기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품질보증마크 증명표장제를 활성화해 국내산 닭고기가 수입산 닭고기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데 역량을 집중하겠다. 여기에 육계업계 고질적인 문제인 닭고기 수급 안정을 위한 법 제도 개선, 닭고기 생산비 절감 정책, 가축재해보험 기준 단가 상향,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살처분 후 실질적인 보상대책 마련 등도 반드시 해결, 육계산업을 안정화 시키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농어민신문 12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