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김경욱 기자] 

갑진년을 맞아 새 희망을 안고 출발했던 축산업계가 한 해를 보내고 새해 을사년을 맞을 준비를 하고 있다. 올 한 해 축산 농가들은 역대급 폭염과 치솟은 생산비 등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안정적인 가축 사육을 위해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렸다. 한우법 무산, 가축전염병 확산, 산란계 사육면적 확대 공방, 지속된 닭고기 할당관세 등 정책·방역적으로도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 한국농어민신문은 ‘축종별로 본 2024년 이슈’를 통해 다사다난했던 갑진년 한 해를 결산해 본다. 

육계산업엔 수년째 계속돼 온 이슈가 올해에도 이어져 육계 농가와 계열업체를 괴롭혔다. 

육계업계에 따르면 2022년부터 3년간 이어온 정부의 할당관세 조치로 수입 물량이 넘쳐나면서 국내산 닭고기 자급률 80%가 붕괴, 77%가 됐다는 소식이 연초부터 들려왔다. 올해에도 수입 물량 재고가 이어지며 생산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생산비를 밑도는 육계 산지 가격 약세가 계속됐다. 이에 생산자단체에선 가격 상승 시만이 아닌 하락 시에도 육계 수급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하며, 정부에 대응책 마련도 촉구했지만 아직 구체적은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프랜차이즈업계도 닭고기 소비 침체와 시세 하락을 거들었다. 할당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몇몇 치킨 프랜차이즈업계가 치킨 원료를 국내산에서 브라질산 등 수입산으로 대체하면서도 치킨 가격은 인상해 소비에 찬물을 끼얹었다. 

2017년부터 진행된 공정거래위원회의 부당공동행위 조사, 일명 육계업계 시각에선 수급조절 행위를 가격담합으로 몰은 사안도 현재까지 논쟁이 계속되며 지루한 법정 다툼이 전개되고 있다. 이로 인해 닭고기 가격 약세에도 육계업계는 수급조절행위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침을 겪던 육계업계에도 희소식은 전해졌다. 지난 5월 삼계탕을 비롯한 대한민국 열처리 닭고기 제품이 유럽연합(EU)에 첫 진출했고, 8월엔 유럽 내 경제규모 2위 국가인 영국 시장까지 수출길이 확대된 것이다. 이는 국내 육계업계와 정부가 EU 정부에 삼계탕 수입 허용을 요청한 지 27년 만에 이뤄낸 값진 성과였다. 다만 이를 활용, 수입산을 원료로 한 일부 닭고기 가공제품이 유럽시장에 진입해 국내산 육계업계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한국농어민신문 12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