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종별 마리당 사육비 ‘껑충’…육계 외 소득 격감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축산농가의 소득은 크게 줄어든 반면 생산비는 늘고 있어 농가들의 경제적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 5월 18일 발표한 ‘2022년 농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축산농가의 연 평균 소득은 6천303만2천원으로 2021년 9천183만8천원 대비 무려 31.2%가 줄었다.
코로나19로 인한 특수효과로 2021년 상승했던 한우 가격이 평년 수준으로 하락했고 생산량이 증가한 계란의 가격 하락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국제곡물가격 상승으로 인해 사료비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평이다.
지난 5월 26일 발표된 축산물 생산비 조사 결과는 더욱 심각했다.
통계청은 지난해 축종별 마리당 소득을 육계를 제외한 모든 축종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마리당 사육비는 한우 비육우 4.2%, 젖소 10.2%, 비육돈 15.3%, 산란계 22.8%, 육계 9.6% 각각 상승한 반면, 마리당 소득은 한우 비육우 64.5%, 젖소 23.3%, 비육돈 9.2%, 산란계 59%로 크게 하락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와 관련 사료구매자금지원 규모 확대, 조사료 할당관세 물량 증량, 명절 도축수수료 지원, 논 하계조사료 7천ha 확보 등 대책을 내놨지만 농가들의 민심을 달래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강원도의 한 축산 농가는 “축산물 가격 하락이 소득 감소의 원인이라고는 하지만 가격이 좋을 때 물가를 잡는다는 이유로 수입 축산물에 할당관세를 적용해 가격을 하락시킨 것은 정부였다”며 “수입 물량 조절로 정부가 가격에 직접 개입을 했는데 마치 농가들이 과도한 물량을 사육해 가격 하락을 했다는 식으로 책임전가하는 모습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농식품부가 축산농가 지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축산업계의 거센 반대에도 무릅쓰고 할당관세 수입을 지속적으로 이어왔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큰 상태여서 농가들의 민심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축산신문 6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