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육계 산지가격이 하락세에 접어든 상황이다. 농가와 계열화업체들의 한숨이 커지는 것은 당연한 상황. 여기에 더해 현재 닭고기 수입량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닭고기 공급 과잉이 심화될까 업계서는 우려가 크다.

지난 2월 1일 kg당 2천원으로 출발한 육계 산지가격(축산물품질평가원 생계유통시세, 대닭 기준)은 3월 한때 2천700원까지 올랐었지만 지난 17일 기준 2천193원까지 하락하며 25일 현재까지 약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이렇게 산지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수입량도 큰 폭으로 늘고 있어 닭고기업계의 경영난이 심화 될까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실제로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 3월 수입(검역기준)된 냉동 닭고기는 2만1천856톤으로 전년동월(1만3천6999톤)대비는 59.57%가, 전월(1만6천571톤)대비 31.9% 증가했다.
더욱이 정부가 오는 6월까지 수입 닭고기 3만톤에 대해 무관세 수입을 추진한다고 밝힌 상황이라 수입량이 더욱 증가해 닭고기 시장의 피해로 돌아올 공산이 크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

한 관계자는 “육계는 산물이다. 기후·질병 발생 등의 여파로 시시각각 공급량이 변하고, 이에 따라 산지가격의 변동이 있는데, 정부가 전체적인 사육상황을 고려치 않고 당시의 산지가격을 기준으로 단기적인 정책을 펼치는 것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한 육계 계열화업체 관계자는 “지난 3월에서 이달 초까지 육용종계의 생산성 저하, 저병원성 AI 발병, 삼계 병아리 살처분 등으로 육계시세가 단기적으로 소폭 높은 시세가 형성됐었다. 하지만 이달 중순 이후 생산성 개선 등의 이유로 공급량이 증가,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하지만 정부는 3월 한때 육계 산지가격의 상승을 이유로 이미 6월까지 수입닭고기에 대해 무관세 수입을 추진한 상태다. 이 때문에 국내 육계 산지가격 하락에 더해 수입물량 까지 더해지며 닭고기 시장의 불황이 심화 될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지난 2~3월 국내 AI 발생으로 인한 출하 적체, 생산성 하락 등의 이유로 국내 육계의 사육수수가 충분했지만 산지가격이 상승했었다는 것. 정부가 전체적인 닭고기 시장의 상황을 살피지 않고 단기적인 산지가격 상승에만 초첨을 맞춰 수입정책을 추진해 생산량이 정상을 찾자 닭고기 공급과잉의 과속화를 불렀다는 설명이다.


한편, 문제는 또 있다. 무관세로 수입된 닭고기가 정작 시장에 낮은 가격에 판매가 되지도 않는 다는 것.
한 프랜차이즈 닭강정 업체 관계자는 “솔직히 말해 우리 업체의 경우 당시의 단가를 기준해 국내산과 수입산을 병행한다”면서 “그런데 분명 수입 닭고기가 무관세로 수입이 됐다는데, 수입·공급업체의 단가는 매한가지”라며 “기존보다 낮은 가격으로 수입됐을 터인데 우리가 공급받는 단가는 변화가 없는 것이 이상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유통업체 한 관계자는 “정부가 수입 닭고기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면 사실 이에 이득을 보는 것은 조리·판매업체도, 소비자들도 아니다”라며 “수입업체들의 마진만 올려주는 것이 현실이다. 진정으로 정부가 물가를 안정시킬 생각이라면 수입부터 소비자들에게 판매되는 과정 모두를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축산신문 4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