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이하 화물연대)의 총파업에 대해 축산업계가 농가 피해로 이어질까 우려스러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료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가가 입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양계협회, 한국육계협회, 한국토종닭협회, 한국육용종계부화협회, 한국오리협회로 이뤄진 가금생산자단체는 29일 성명서를 통해 가축 생명 담보로 한 화물연대 파업을 즉각 중단해 줄 것을 촉구했다.
가금생산자단체는 “화물연대 종사자들의 생존권 사수를 위한 단체행동은 충분히 이해하나 파업으로 인해 소중한 생명인 가축이 굶어 죽는 비극적인 상황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면서 “화물연대는 무차별적인 총파업은 자제하고 축산농가의 가축 생명과 관련된 모든 운송에 대해 조건 없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즉각 조치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 6월에 진행된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전국 항만의 곡물이 사료공장으로 운송되지 못하면서 사료공급 지연으로 원료를 확보하지 못해 일부 닭고기 생산 전문업체에서는 외부 사료를 구매해 공급하는 일까지 발생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26개 축산관련단체들로 구성된 축산관련단체협의회(이하 축단협)는 화물연대에 공문을 보내 사료 운송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조를 구했다.
축단협은 “가축은 생물로서 사육기간 중 매일 사료를 섭취해야 한다”면서 “배합사료 원료와 조사료의 경우 대부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사료공장이 원료를 확보하는 기간이 2~3일 밖에 안 돼 운송중단이 지속될 경우 축산농가들은 사료공급 전면 중단이라는 회복하기 어려운 피해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축단협은 “화물노동자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제도개선 필요성에 깊이 공감한다”면서 “화물연대에서는 축산업의 어려운 여건을 고려해 배합사료와 조사료 운송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협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대한한돈협회에서도 축산농가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속히 총파업을 해결해 줄 것을 촉구했다.
한돈협회는 “사료회사가 출하까지 담당하는 양돈업 특성상 총파업이 길어질수록 한돈농가의 피해는 가중될 수밖에 없다”면서 “화물연대가 ‘안전운임일몰제 폐지’ 등의 이유로 또다시 파업에 돌입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한돈농가와 가축들의 생존권을 볼모로 삼는 행위는 절대 지지받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농수축산신문 11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