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에도 한우 사육마릿수 증가세가 이어졌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2년 3분기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3분기 한우 사육마릿수는 354만4000마리로 지난해 동기 대비 9만3000마리(2.7%) 증가했다. 최근 2년간 송아지 산지 가격이 오르면서 농가의 번식 의향이 늘어난 것이 사육마릿수 증가의 주요인으로 파악된다.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7586만3000마리로 1년 전과 비교해 514만1000마리(7.3%) 늘어났다. 최근 산란종계 사육마릿수가 늘어나면서 3개월 미만 입식마릿수가 늘어난 점이 영향을 미쳤다.
육계 사육마릿수도 8946만3000마리로 지난해보다 576만4000마리(6.9%) 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지역축제가 이어지며 수요가 증가한 점이 주요인이다.
오리 사육마릿수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따른 기저효과로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166만6000마리(22.1%) 늘어난 919만7000마리로 집계됐다.
돼지 사육마릿수는 1132만6000마리로 지난해 동기 대비 13만9000마리(1.2%) 감소세를 보였다. 모돈 사육마릿수가 감소함에 따라 4개월 미만 돼지 사육마릿수가 줄어든 영향이다.
젖소 사육마릿수는 38만9000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만마리(2.6%) 감소했다. 원유 할당물량이 줄고 사료비가 오르면서 생산성이 떨어져 착유 마릿수가 줄어든 영향이라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박하늘 기자
<농민신문 10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