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양계산업’ 포럼
가격·판로 주도권 쥔 마트
할인 행사 빌미 덤핑 판매 요구
거래 끊길 우려 헐값에 넘겨
품질 저하 생산 연장 금지 등
산란계 자성의 목소리도 나와
산란계 업계가 생산 원가 이하로 납품가가 형성돼도 가격과 판로 주도권을 쥔 마트(유통업체)와 ‘울며 겨자 먹기’로 거래를 해야 하는 비정상적인 계란 유통 구조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김학용 국민의힘(경기 안성) 의원과 한국양계포럼(회장 오세을)은 지난달 29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지속가능한 한국양계산업’을 주제로 제10차 양계포럼을 진행했다. 이날 포럼에서 ‘계란 매입, 유통세일 판매’를 주제 발표한 최홍근 한국계란유통협회 명예회장(부흥계란 대표)은 계란 할인 판매에 대한 문제를 공론화시켰다.
최홍근 명예회장은 “마트에서 계란 행사를 진행할 때 수요와 공급에 관계없이 가격 결정을 무시하고 행사를 진행하지만 우리는 마트에서 가격을 부르는 데로 거래를 할 수밖에 없다”며 “농장과 (중간) 유통 상인들이 마트 점주들의 가격 인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거래를 중단하고 다른 곳과 계약을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거래를 유지하고 있다”고 현실을 전했다.
그는 “더욱이 마트 간 치열한 경쟁으로 생산원가 이하 판매가 이뤄지는 경우도 비일비재하고, 마트 매출 증대를 위한 미끼 상품으로 계란이 이용되기도 한다. 전국적인 현상이라 피해 규모 파악도 어렵다”고 밝히며 이 문제에 대한 정부와 국회에서의 관심을 촉구했다.
이 자리에선 계란 가격이 반등할 경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업계 자성의 목소리와 사육 면적 확대에 따른 대책 마련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엄주철 대영농원 부문장은 “계란 가격이 반등했을 경우 그 가격을 지지하기 위해 해서는 안 되는 행동들이 있는데, 무엇보다 업계에선 품질이 저하된 계란 생산을 연장해선 안 된다. 또 성계 도태 지연, 즉 출하 약속 파기도 지양해야 한다”며 “병아리 입식 과열 경쟁도 결국 계란 가격 지지를 막고 계란 가격 하락을 부추길 수 있기에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엄 부문장은 “2025년 산란계 사육면적이 0.075㎡(현행 0.05㎡)로 확대되면 계란 생산량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며 “계란사업이 총체적인 혼란에 빠질 수 있기에 계란 생산량 감소로 인한 혼란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를 주최한 김학용 의원은 “닭고기와 계란이 대표적인 서민 먹거리인 만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은 맞지만 생산 농가가 그 책임을 온전히 짊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결국 정부와 국회의 역할이 매우 크다. 국내 생산 기반을 안정적으로 마련하고,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가운데 어떻게 양계산업을 선진화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시급한 시점으로 국회에서 양계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 한국농어민신문 10월 1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