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가축방역업무에 있어 민간의 참여가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의 방역업무는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와 각 지자체에서 지원을 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하지만 앞으로는 민간의 참여가 더욱 확대되는 형태로 방역 시스템의 개선이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가 생각하는 민간의 범위는 각 계열화업체와 농장 수의사, 그리고 축산농가 등이다.
ASF와 AI 확산에 대비해야 하는 양돈과 육계산업의 경우 계열화 비율이 상당히 높은데다 각 농장별 상황을 계열화업체에서 가장 잘 파악을 하고 있는 만큼 계열화업체의 참여가 필수라는 지적이다.
농장의 가축을 관리하는 수의사들도 가축 질병에 대한 전문가인 만큼 방역에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축 사양관리와 시설관리에 나서야 할 농가들도 방역 업무에 함께 해야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이다.
농식품부는 이와 관련 서울대학교에 연구용역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향후 방역정책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가축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당국과 축산업계가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더욱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민간의 참여의 확대가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정부는 가축전염병으로 인한 축산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축산신문 4월 12일>